평생을 이승만 박사를 따라 독립운동을 한 임병직
임병직은 미국에서 이승만 박사 비서로 일을 했다. 독립운동에 나선 것도 이승만 박사의 뜻에 따라서 였다. 임병직은 관립외국어학교를 졸업했다. 서울에서 YMCA에 가입하면서 이상재, 이승만을 만났다. 1913년 10월10일 미국으로 유학을 오게된 것도 이승만의 추천 때문이었다. 샌프란시스코, 유타, 시카고, 뉴욕을 거쳐 마운트 허먼학교에 입학했다. 대학 2학년때인 1919년 한국에서 3.1만세운동이 벌어졌다. 임병직은 대학 2학년 때에 필라델피아 한인대회에 참가했다. 대회가 끝나고 이승만이 “자네에게 애국심이 있다면 나를 따르게”라고 하는 한마디에 그를 따라 워싱턴으로 이주했다. 임병직은 구미위원부 설립으로부터 해방이 되어 귀국할때까지 이승만 박사의 그림자와 같은 생활을 했다. 이 무렵 이승만은 임병직을 육군 대령으로 임명했다. 부대도 없는 구미위원부였지만 비서보다는 대외적으로 대령이라는 호칭이 주요 인사들을 접촉하는데 편리했기 때문이다. 임병직은 군복에 호랑이 머리를 수놓은 군모까지 쓰고 다녔다. 커널 임이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했다. 1920년 이승만과 임병직이 하와이를 거쳐 상해 임시정부로 갈 때 화란선박에 숨어들어갔다가 중국인 부자라고 위장한 후 태평양을 무사히 건너간 일화가 남아 있다. 다시 워싱턴으로 돌아온 임병직은 2차대전 중에는 구미위원부가 미 육군전략처와 협조하여 한인 청년들을 OSS에 입대시키는 일을 담당했다. 해방이 되어 이승만이 귀국했고, 후임으로 구미위원부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49년 1월28일, 대한민국이 건국한지 5개월만에 이승만 대통령의 부름을 받고 외무부 장관으로 금의환향을 했다. 그리고 2년뒤인 1951년 9월21일 유엔대사로 발령을 받고 9년을 꼬박 뉴욕에서 대사로 근무하면서 한국의 외교를 국제화시키는데 큰 공을 세웠다. 자유당 정권이 무너지고 1960년 9월 후임인 이수영 유엔대사에게 인계한 후 귀국, 국민운동재건본부 본부장으로 지냈다.1976년 8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성명 : 임병직
훈격(연도) : 대한민국장(1976)
운동계열 : 미주방면
출생지 : 충청남도 부여
생존기간 : 1893. 10. 26 ~ 1976. 9. 21
충청남도 부여 사람이다. 1913년 이승만의 알선으로 도미, 오하이오대학에 재학 중 한국학생평론을 창간하고 편집장이 되어 한국의 사정을 호소하였으며, 이승만이 하와이에 설립한 한인중앙학원, 한국기독학원 등의 육영사업을 지원했다. 1919년 국내에서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일제의 양민학살, 고문 등의 만행을 여론에 환기시키고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또한 이승만 서재필 등이 한인대회를 개최하자 서기장에 임명되어 독립운동 방략을 토의했다. 이후 이승만의 비서로서 구미위원부에서 활약하면서, 천황에게 한국의 독립을 승인하라는 이승만의 친서를 일본공사관에 전달하기도 했다. 1921년 초에는 임시정부 외교부 참사 황진남과 상해를 출발하여 파리, 런던 등을 순회하며 유럽제국에 일본의 침략 만행을 규탄하는 외교공세를 펴는 한편 한국의 독립을 적극 지원하던 영국인 쇼우와 독립운동 방안을 협의하기도 했다. 1941년 4월 20일 호놀룰루에서 해외한족대회가 개최되어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구성되자 그는 김호, 한시대, 김병연, 송철 등과 집행부 위원에 선출되어 활약했다. 1942년 2월에는 로스앤젤리스에서 한인국방경비대가 조직되어 김용성이 사령관에 임명되고,그는 선전과 참위로 임명되었다. 1943년에는 구미위원부 무관으로 이승만을 도와 한미 외교교섭에 기여했다. 광복 후에는 대통령 특사, 외무부장관, 유엔대사 등을 역임하며 건국에 이바지했다. 정부는 1976년 건국훈장 대
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